법현 스님에게 듣는 불교식 차례법

최근에는 사찰에서 합동차례를 지내는 것이 새로운 풍속도로 자리잡았다고 하지만, 그래도 가정에서 차례를 올리는 경우가 아직은 일반적이다. 집마다 차례를 올리는 풍습은 다르지만, 불자라면 불교식 차례법을 생각해볼만 하다. 불교는 유교식 차례에서 사용하는 고기와 술 대신에 차와 제철 과실과 채소로 간소하면서도 부족하지 않는 차례상을 지향한다. 올해에는 불교식으로 차례상을 꾸며보자. 오랫동안 불교식 차례법을 연구·보급해온 열린선원장 법현 스님이 불교식 차례상과 의식법에 대해 기고글을 통해 설명했다.

▲ 불교식 차례상 예시도. 고기와 술을 올리지 않는다.
불교 상차림 ‘홀수’가 기본
제철 재료로 차례 준비해야
유교식 술·고기는 사용 안해


불교식 상차림 |흔히 상차림에는 홀수줄로 하며, 홀수 가짓수로 한다. 홍동백서·좌포우혜·두동미서 등의 순서를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처음부터 의례집에 있는 것이 아니라 민간에서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삽입된 정체불명의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조상님이 계시는 위패를 중심으로 전식(Appetizer), 본식(Main dish), 후식(Dessert)의 순서로 드시기 좋고 보기 좋게 진설하는 것이 중요하다.

제철에 나는 음식이 가장 맛나고 영양가도 있어서 먼저 조상님께 올리고 후손들이 먹는다는 정신을 살리는 것이 필요하다. 추석에는 밥, 국 앞에 송편을 올리고, 그 앞에 반찬류, 그 앞에 과일과 떡류를 올리는 것이 보통이다. 설에는 송편을 올리지 않고 밥과 국 대신에 떡죽(국)을 올린다.

유교의 음식은 고기와 술을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자비와 지혜의 종교인 불교에서는 채식을 중심으로 하고 다선일여의 차(茶)를 올려서 조상님과 후손들이 슬기롭게 살아가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위패(지방) 쓰는 법 |유교 제사에서는 벼슬에 따라서 위패(지방)를 쓰거나 벼슬 하지 않은 이가 대부분이어서 아버지의 경우는 현고학생부군신위, 어머니는 현비유인신위라고 해서 죽음으로써 지위를 높여 벼슬의 맨 아래를 추서한 듯이 위패를 쓴다. 그러나 불교에서는 평등하게 ‘선 엄부 본관 성 공 이름 영가’, ‘선 자모 본관 성씨 이름 영가’라고 쓴다.
수계를 받았다면 ‘선 엄부 계명 본관 성공 이름 영가’라고 쓰면 좋다. 다만, 차례에는 여러 분을 모시기에 위패를 쓰지 않는 것이 보통이다.

가정 불교 차례 | 본디 사찰에서는 스님이 불자들을 위해 대신 해주는 의식만 있었기에 가정에서 지내는 차례의식문은 불교의식집에 들어있지 않아서 본인이 1990년도부터 새로 구성해 제시한 의식을 기반으로 진행하고 있다.

1) 미타거불(彌陀擧佛): 부처님을 모시는 의식(상을 다 차리고 온 가족이 상 앞에 서서 염불하듯이 하면 더 좋고 아니면 그냥 시낭송 하듯이 하면 됨)
나무 극락도사 아미타불 (큰절)
나무 좌보처 관세음보살 (큰절)
나무 우보처 대세지보살 (큰절)

2) 다게(茶偈): 차를 올리는 시(잘 달인 녹차를 제주 혼자서 한 잔 올리고 절은 다 같이 두 번 한 뒤 다 같이 한다.)
시방삼세 부처님과 청정미묘하신 법과 삼승사과의 해탈 얻으신 승가에 공양하오니 자비를 베풀어 감응하여 주옵소서

3) 청혼(請魂): 조상님 영가를 모시는 의식
금일 여러 조상님들이시여 저희들이 모시는 추석(설) 차례에 강림하시어 감응하여 주시옵소서 (차를 차례차례 다 올리고 재자들 모두 큰 절 2배)

4) 공양: 공양을 올리는 의식
저희 자손들이 계, 정, 혜, 해탈, 해탈지견의 5분향을 공양하오니 자성의 대지혜를 발하고 반야의 밝은 등을 켜서 3계의 어둠을 밝히사이다.
조주스님의 맑은 차를 드리오니 목마름이 아주 없어지이다.
선계의 진품과일을 올리오니 맛보아 주소서
진수를 올리오니 허기가 영원히 없어지이다.
오늘 조상님 영가께 올린 모든 진수는 하늘에서 내려온 것도 땅에서 솟은 것도 아니요 저희들이 작은 정성을 모아 올린것이오니 흠향하여 주시옵소서.
(빙 둘러 앉아서 조상님의 덕을 칭송하고 생전에 베풀었던 가르침이나 일화를 되새기며 덕을 추모하는 시간을 5-10분간 가짐으로써 조상님이 공양하시는 시간으로 삼음)

5) 보공양진언: 조상님과 다른 영가께 모두 공양되도록 하는 진언
옴 아아나 삼바바 바아라 훔 (3번)

6) 보회향진언: 마무리하는 진언
옴 사마라 사마라 미마나 사라마하 자가라바 훔 (3번)

7) 발원: 원을 세우고 조상님에 대한 추모의 생각을 키움
오늘 저희들이 올린 공양을 받으시고 아미타부처님의 국토인 극락세계에 태어나시고 건강한 몸과 건전한 정신으로 올바른 삶을 영위하여 깨달음을 얻는 길로 이끌어 주시기를 발원하옵니다.
나무아미타불(10념) (큰절 2배후 헌식하고 그릇의 뚜껑을 닫고 위패를 사른다.)


불교식 차례 묻고 답하기 Q&A
가족간 종교 다르면 화합이 우선

차 올린 때엔 티백도 무방해
3색 과실·채소는 제철이 중요
법복으로 통일하면 더 좋아요

Q 종교가 다른 가족이 있을 경우에 불교식 제사를 변용하여 치를 방법이 있는지요.
-현대사회에는 한 가정에 다종교가 공존하는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이럴 경우에 제사를 어떤 방식으로 지낼 것인지의 문제는 상황에 따라 다르므로 가족 간에 협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그러나 불교식 제사의식을 변용하여 지내기보다는, 타종교인 가족의 종교적 신념을 존중하여 제사에 참석은 하되 절에 대한 부담은 주지 않는 방식이 좋습니다. 종교 문제는 가족이라 하더라도 주장이 대립할 경우 불화의 씨앗이 될 수 있으므로, 제사를 불교식으로 지내는 것보다 가족의 화합을 우선에 두어야 합니다.

Q 차를 올릴 때 티백을 사용해도 괜찮은지요.
- 괜찮습니다. 다만 차를 올릴 때는 티백을 빼낸 다음에 올리고, 이때의 차는 녹차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차가 없으면 맑은 물을 올리는 것도 좋습니다.

Q 차를 올릴 때 참석자 전체가 돌아가면서 올려야 하는지요.
- 차는 자유롭게 올려도 무방합니다. 가족을 대표하여 제주가 한 번만 올려도 되고, 전통제사의 개념에서 아헌·종헌에 해당하는 두 사람이 더 올려도 좋고, 참석자 전체가 올려도 좋습니다.

Q 가정 제사를 지낼 때 옷차림은 통일해서 입는 것이 좋은지요.
- 물론 법복 등으로 통일해서 입을 수 있다면 더없이 좋겠지요. 그러나 옷차림까지 통일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불교 제사를 까다롭고 불편한 것으로 여기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너무 화려하지 않고 단정한 옷차림이면 어떤 것이든 무방합니다.

저작권자 © 현대불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